U-Gyeong Baik

Is your surname Baik?

Research the Baik family

Share your family tree and photos with the people you know and love

  • Build your family tree online
  • Share photos and videos
  • Smart Matching™ technology
  • Free!

U-Gyeong Baik

Korean: 백우경
Birthdate:
Birthplace: 소주, 중국.china
Death: before 620
Korea 영월당
Place of Burial: 한국 자옥산 남쪽 기슭 庚坐甲向
Immediate Family:

Son of 계반 백 and 계반 백
Husband of Mrs. U-Geyong Baik
Father of Jeong Baik

Managed by: Peter Buvik
Last Updated:
view all

Immediate Family

About U-Gyeong Baik

Suwon Baek
The Suwon Baek family is a Korean surname based in Suwon-si, Gyeonggi-do.
Founder Baek Woo-gyeong
Baek Chang-jik (白昌稷), Baek Cheonjang (白天藏)

history
According to 『Baek Family Dongbo (白氏大同譜)』, the progenitor Baek Woo-gyeong (白宇经) is a descendant of Baek Eul-byeong (白乙丙), the 16th-generation descendant of the Heonwen clan, the emperor of ancient Chinese legend. He is from 蘇州). From Tang (唐) dynasty, he reached Cheomui-sa and Lee Bu-sang-seo (吏部尙 書), but they were framed by vassals and crossed over to Silla in 780 (the 1st year of King Seondeok of Silla) and came to Mt. Jaok (紫玉山). It is said that after they settled under Oksan-dong, Angang-eup, Gyeongju-si), they built Manseam in Yeongwoldang (迎月堂) and made an effort to spread scholarship. ∼ 924), he served as the chief of the Jungnang (中郞將) and accepted the Baekchangjik (白昌稷) as an important ancestor (中始祖).

It is said that the great-grandson of Baek Chang-jik, Hwi (白揮), was entrusted to Suwon-gun as Daesamadae-general during Mokjong of Goryeo, but there is no historical record. It is said that he was sealed in Suseongbaek (隋城伯)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seon of the Goryeo Dynasty after returning to Korea after receiving the title of Bu-sang-seo (吏部尙書) of Geumja Gwang-rok Daebu (金紫光祿大夫), and then the supreme award (右丞相). . Suseong is the old name of Suwon.

In 1454, in the geography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it was said that the Suwon Baek clan came from Kaesong. There is Baek In-geol (白仁傑), the great-grandson of Baek Hyo-sam (白效參). In 2015, the population was 354,428. [Note 3] In terms of historical sites, the first person to use Suwon as the main building was Baek Hyo-sam (白效參). In 1427 (9th year of King Sejong), Baek Hyo-sam wrote the main building as 'Suwon' in Gwaji. Baek Hyo-sam is the son of Baek Hui, who served as Boseong Hyeon-gam (甫城縣監).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descendants of Hyo-sam entered the central bureaucracy one after another, and their descendants prospered.

The problem with the sijo dongrae theory
According to the legend of the founder Baek Woo-gyeong, the Dongnae theory was published in the Donggyeongjapki, published by Minju-myeon of Gyeongju Busa in 1669, that he had political exile from Suju to Unified Silla in AD 780, during the reign of King Deokjong of the Tang dynasty. It is an excerpt of the contents of the Gubo, and it has no value as a historical document that can be more clearly verified. Jin Pil-myeong (秦弼明) is the progenitor of the Jin clan on the Korean Peninsula. The wife of his great-grandson Jin Ja-yun (秦自潤) was recorded in the genealogy of the Jin clan as the Baek clan. He was born between 710 and 720. He is similar to or older than Baek Woo-gyeong, the founder of the family. It is recorded in the Seonwonrok that the arrangement of Lee Ip-jeon, the fifth-generation descendant of Lee Han, the progenitor, was the wife of Baek Gwang-seon of Hallym Haksa.

Main Building History
It is said that Suwon was called 'Mosu-guk' in prehistoric times. After Goguryeo drove Baekje south of the Han River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name was changed to 'Maehol-gun' (買忽郡) and 'Suseong-gun' (水城郡)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of Silla.

In 940 (23rd year of King Taejo), it was elevated to 'Suju' and was also called Hannam or Suseong. Danryunsa Temple was built in 995 (14th year of King Seongjong), then it was demolished in 1005 (8th year of King Mokjong), and again in 1018 (9th year of King Hyeonjong's) it was re-established as Jisujusa. In 1271 (12th year of King Wonjong), it was promoted to Tohobu (都護府), and then to Mok (牧) again, but in 1310 (2nd year of King Chungseon), all trees were removed and Suwonbu (水原府) was relegated to In 1362 (11th year of King Gongmin), he was demoted to a county (郡), but later became a wealth (府) again.

In 1394 (the 3rd year of King Taejo of Joseon), right after the founding of Joseon, along with the capital of Hanyang, Yanggwang-do was incorporated into Gyeonggi-do. In 1413 (13th year of King Taejong), the name was changed to 'Suwon' and Suwon Dohobu and Namyangdohobu were established.

Suwon, which was only a quiet village until the mid-Joseon period, was renamed Hyeonrungwon by King Jeongjo, who moved the tomb of Crown Prince Sado, Yeongwoowon, from Yangju to Suwon's volcano. started to develop into Together with Leewon, Suwon Hwaseong for defense of the city and Hwaseong Haenggung for the royal tombs were built. King Jeongjo placed his guard, Jang Yong-young, in Suwon, and business developed. However, after King Jeongjo's death in 1800 (the first year of King Sunjo), the privileges granted to Suwon were abolished.[Note 4]

sect
The Baek clan was divided into 29 factions, including the Seonjeonggong faction (禪亭公派), the Injugong faction (仁州公派), and the Osangun faction (鰲山君派), in the descendants of Baek Chang-jik during the middle dynasty. Baek Chang-jik (? ~ 927?), the founder of the Middle Ages, had two sons, Gil and Tak. Descendants are the only gatekeepers. Among Baekgil's successors, the descendants of 5-year-old Baek Ganmi (白簡美) account for the majority of the 25 factions.
The descendants of 11-year-old Baek In-gwan (白仁寬) are the Jangpa, Seonjeong Gongpa (Seonsan Baek clan). The descendants of 12-year-old Baek Yeok (白繹) are <Injugongpa> (Jeongju Baek clan), and 13-year-old Gyeyeong Baek (白桂英) descendants are <Osan-gunpa> (Qingdao Baek clan). The descendant of 13-year-old Baek Yu (白維) is the <Jangdan Gongpa>, and the descendant of 10-year-old Mun-bo Baek (白文寶) is the <Damam Gongpa> (Daehung Baek clan).
<Yanggok Gongpa> is the descendant of 6-year-old Musin Baek, the third son of Baek Gan-mi, and <Taesa Gongpa> (Hongju Baek clan) is the descendant of Baek Ga-sin (白可臣), the fourth son.

A descendant of Baek Gan-mi's fifth son, Kyung-sin (白元貞)
Nine-year-old Baek Cheonjang (白天藏) was the successor of Kyungsin (景臣) and had six sons, and his descendants were all divided into 17 factions. As the eldest grandson of Baek Cheonjang's son Ryeon (璉), 12-year-old Baek Jang (白莊) went to Jangheung, and his descendants are the <Sinjeongjae Gongpa> (Jangheung or Haemi Baek clan). The Taein Baek clan separated from the Haemi Baek clan and moved to Uiju.
Among the clan members who lived in Gaeseong at the beginning of the Ryeomalseoncho period, Baek Hoi, the younger brother of Baekjang, lived in Boseong Hyeongam and moved south, and the descendants of his eldest son, 13-year-old Baek Hyo-sam, took Suwon as their main building and went to Paju and Yangju. settled in The descendants of 14-year-old Baek Sa-sun are the <Jwarang Gongs>, the descendants of 16-year-old Baek In-hyeon are the <Hunjeong Gongs>, the descendants of Baek In-young are the <Do Seung-ji Gongs>, and Baek In-ung's descendants are The descendants of the <Chambong Gongs> and Baek In-ho are the <Byuljwa Gongs>, and the descendants of Baek In-geol are the <Mungyeong Gongs>. The younger brothers of Baek Hyo-sam, the descendants of Baek Hyo-ong are <Cheongsan Gongpa>, the descendants of Baek Hyo-yeon (白效淵) are <Saneum Gongpa>, and the descendants of Baek Hyo-yak (白效若) are <Impigongpa>. The descendants of Baekhoe prospered, and in the mid-late Joseon Dynasty, they became the great bell of the Baek family.
The descendants of the 11-year-old Baek In-seok, the son of Baek Cheon-jang's second son Jeon, are the <Bongik Daebu Gongpa>, and the descendant of the 13-year-old Baek Un-sil (白雲實) from the third son Hwan. The descendants of the <Bojeon Army Gongpa> (保功將military public school), the descendants of 12-year-old Su-hee Baek (白受禧) [Note 5] are the <Busa Gongpa> (Jiksan Baek clan), and the 12-year-old Baeksu (currently the descendant of the fourth son San) The descendants of the Geumneung Buwongun faction (Kimcheon Baek clan), the descendants of the fifth son Hwang (璜), the descendants of the 17-year-old Eung-sang Baek (白應祥) are the descendants of the Hampan-gong school, and the descendants of the 18-year-old Heungnam Baek (白興男). <Isolation wave> c. And the descendants of Baek Che (白琚), the sixth son of Baek Cheonjang, are Jungnangjang's <Suidobu Gongpa> (Buryung Baek clan), and the 17 descendants of Baek Cheonjang are called Suwon Baek clan.
The descendants of Baek Ji-jang, Baek Cheon-jang's younger brother, are <Dongrim Gongpa> (Imcheon Baek clan).

The descendants of the 5-year-old Haengmi Baek are the <Sirang Gongpa> (Taecheon Baek clan), the descendants of the Baek Gami are the <Master Gongpa> (Shinpoong Baek clan), and the 6-year-old Baek Young-shin (白英臣) is the grandson of Baek Chae (白採). ) is the <Buyeo-gun faction> (Buyeo Baek clan).
The descendants of Baek Tak (卓), the second son of Baek Chang-jik during the middle dynasty, continued to the stage (單係) and reached the Baekmunjeol (白文節), and their descendants were <Mungan Gongpa> (Nampo Baek clan).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Baek clan, which prospered with their main buildings in Seonsan, Daeheung, Nampo, Jiksan, and Cheongdo, rose to the 'Bullsaigun' (不事二君) and declined to be buried in the early night, but Suwon, founded around the time of the founding of Joseon Since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the Baek clan actively worked in the court, and their descendants prospered. By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Baek clan became the majority of the Baek clan. From the 1850s, discussions were underway to integrate the main building into Suwon.

[The founder of the Suwon Baek clan is Song Gye-gong Baek Woo-gyeong (749-821), who served as the chief of the Cheomuisa during Deokjong of the Tang dynasty. , during the reign of King Deokjong of the Tang Dynasty (779-805) and King Seondeok of Silla (780-785), came to Silla and settled under Mt. Geumosan in Gyeongju. Exodus-Youngnakbo) was observed. Baek Hwi (白揮), a descendant of Baek Woo-gyeong, was entrusted to Suwon-gun as a great general during the Goryeo Dynasty (reigned 997-1009), so the Suwon Baek clan was founded. The emperor of the Tang dynasty offered to return to the country several times to Song Gye-gong Baek Woo-gyeong, but he refused. The tomb of Baek Woo-gyeong is located at the southern foot of Mt. Oksan in Gyeongju. His descendants are based on Baek Chang-jik (? ~ 927?), who served as a general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myeong of Silla. The population is 316,535 as of 2000.

About 백우경 (한국어)

수원 백씨
수원 백씨(水原 白氏)는 경기도 수원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다.
시조 백우경(白宇經)
중시조 백창직(白昌稷) 백천장(白天藏)

역사
『백씨대동보(白氏大同譜)』에 따르면 시조 백우경(白宇經)은 중국 고대의 전설 속의 황제(黃帝) 헌원씨(軒轅氏) 16세손 백을병(白乙丙)의 후손으로 중국 소주(蘇州) 출신이다. 당(唐)나라에서 첨의사(僉議事)와 이부상서(吏部尙書)에 이르렀으나 간신(奸臣)들의 모함을 받아 780년(신라 선덕왕 1년) 신라에 건너와 자옥산(紫玉山:지금 경주시 안강읍 옥산동) 밑에 정착한 후 영월당(迎月堂) 만세암(萬歲庵)을 짓고 학문 보급에 진력하였다고 한다.[주 1] 그러나 이후 계대(系代)가 불명하여 신라 경명왕(재위 917년 ∼ 924년)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내고 상장군(上將軍)에 증직되었다는 백창직(白昌稷)을 중시조(中始祖)로 받들었다.[1]

백창직의 증손 휘(白揮)가 고려 목종 때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졌다고 하나 사적이 없고, 그의 9세손 천장(白天藏)이 원(元)나라에서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이부상서(吏部尙書)를 거쳐 우승상(右丞相)을 지내고 귀국하여 고려 충선왕 때 수성백(隋城伯)에 봉해졌다고 하나 이 역시 사적에 없다. 수성은 수원의 옛 이름이다.

1454년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수원 백씨는 개성에서 왔다고 했다.[주 2] 조선 조 이래 백씨의 대종을 이루고 있다. 백효삼(白效參)의 증손인 문신 백인걸(白仁傑)이 있다. 2015년 인구는 354,428명이다. [주 3] 사적(史籍)으로 볼 때 수원을 본관으로 처음 쓴 사람은 백효삼(白效參)이다. 백효삼은 1427년(세종 9) 친시(親試)에서 과지에 본관을 '수원'으로 기재하였다. 백효삼은 보성현감(甫城縣監)을 지낸 백회(白薈)의 아들로, 임천 백씨 백경신(白景臣)의 아들 진식(眞植)의 후손인 백천장(白天藏)의 현손이다. 조선조에 효삼의 후손들이 잇달아 중앙 관료로 진출하면서 자손들이 번성하여 조선 말에는 백씨 일족 중에서도 대관(大貫)이 되어 1850년대부터 수원으로 본관을 통합하려는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시조 동래설 문제점
시조 백우경의 동래설은 당나라 덕종년간인 서기780년에 소주에서 통일신라로 정치적 망명을 했다고 서기 1669년 경주부사 민주면이 간행한 동경잡기에 실린 기록인데 그 출처는 서기 1637년 간행된 대흥백씨 정축구보의 내용을 발췌한 것으로서 보다 명확한 고증이 될 사료로서의 가치는 없다. 진필명(秦弼明)은 한반도 진씨의 시조인데 서기 624년에 출생, 660년 나당연합군으로 참전하였다. 그의 증손자 진자윤(秦自潤)의 처가 바로 백씨로서 진씨족보에 기록되어 있으니 대략 710년~720년에 출생한 사람이라 시조 백우경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나이가 많으니 시조의 동래설은 의심되는 바이며, 전주이씨 시조인 이한의 5세손 이입전(李立全)의 배위는 한림학사 백광선(白光善)의 여식이라고 선원록에 기록되어 있으니 장인인 백씨는 대략 730~740년대 사람이지만 지금의 백씨족보에는 나오지 않는다.

본관 연혁
수원은 선사 시대에 '모수국'으로 불렸다 한다. 삼국시대에 고구려가 백제를 한강 이남에서 몰아낸 후 '매홀군'(買忽郡)으로, 신라 경덕왕 때에는 '수성군'(水城郡)으로 그 명칭을 고쳤다.

940년(태조 23)에 '수주'(水州)로 승격하여 한남 또는 수성이라 불리기도 했다. 995년(성종 14)에 단련사(團練使)를 두었다가, 1005년(목종 8) 이를 파하고, 1018년(현종 9)에 다시 지수주사(知水州事)로 삼았다. 1271년(원종 12)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키고, 그 뒤에 또 목(牧)으로 승격시켰다가, 1310년(충선왕 2)에 모든 목(牧)을 없앰에 따라 수원부(水原府)로 강등되었다. 1362년(공민왕 11) 군(郡)으로 강등시켰는데, 후에 다시 부(府)로 되었다.

조선 개국 직후인 1394년(조선태조 3) 한양 천도와 더불어 양광도에서 경기도로 편입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수원'(水原)으로 개명되어 수원도호부와 남양도호부가 설치되었다.

조선 중기까지 한적한 촌락에 불과하던 수원은 정조(正祖)가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무덤 영우원(永祐園)을 양주에서 수원의 화산으로 이전하여 현륭원(顯隆園)으로 개칭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원(移園)과 함께 도시 방어를 위한 수원 화성과 왕의 능행차 때 묵는 화성 행궁이 건립되었다. 정조는 자신의 친위부대인 장용영의 외영을 수원에 두어 상업이 발전하였으며, 도호부에서 유수부로 승격되어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1800년(순조 원년) 정조가 사망한 후 수원에 대해 베풀던 특권이 폐지되면서 쇠퇴하였다.[주 4]

분파
백씨는 중시조 백창직의 후대에서 선정공파(禪亭公派), 인주공파(仁州公派), 오산군파(鰲山君派) 등 29개 파로 갈라졌다. 중시조 백창직(白昌稷)(? ~ 927?)에게 길(吉)과 탁(卓), 두 아들이 있었는데, 백길(白吉)의 후손이 28개 파(派)를 이루고 백탁(白卓)의 후손은 문간공파 뿐이다. 백길의 후계 중 5세 백간미(白簡美)의 후손들이 25개 파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11세 백인관(白仁寬)의 후손이 장파인 <선정공파>(선산 백씨)다. 12세 백역(白繹)의 후손이 <인주공파>(정주 백씨)이고, 13세 백계영(白桂英)의 후손이 <오산군파>(청도 백씨)이다. 13세 백유(白維)의 후손이 <장단공파>이며, 10세 백문보(白文寶)의 후손이 <담암공파>(대흥 백씨)이다.
백간미(白簡美)의 셋째 아들인 6세 백무신(白武臣)의 후손이 <양곡공파>, 넷째 아들인 백가신(白可臣)의 후손이 <태사공파>(홍주 백씨)이다.

백간미의 다섯째 아들 경신(景臣)의 후손 원정(白元貞) 계통
9세인 백천장(白天藏)은 경신(景臣)의 후계로 아들 여섯을 두었는데, 그 후손들은 모두 17개 파(派)로 분파하였다. 백천장의 아들 련(璉)의 장손으로 12세 백장(白莊)이 장흥으로 낙향하였으니 그 후손들이 <정신재공파>(장흥 또는 해미 백씨)이다. 해미 백씨에서 태인 백씨가 분적하여 의주로 이거하였다.
려말선초에 개성에 살던 일족들 중 백장의 동생 백회(白薈(繪))가 보성현감(甫城縣監)을 지내고 남하하여 장남인 13세 백효삼의 자손들이 수원을 본관으로 삼고 파주와 양주 등지에 자리잡았다. 14세 백사순(白思純)의 후손이 <좌랑공파>, 16세 백인현(白仁賢)의 후손이 <훈정공파>, 백인영(白仁英)의 후손이 <도승지공파>, 백인웅(白仁雄)의 후손이 <참봉공파>, 백인호(白仁豪)의 후손이 <별좌공파>, 백인걸(白仁傑)의 후손이 <문경공파>다. 백효삼의 동생들로, 백효옹(白效雍)의 후손이 <청산공파>, 백효연(白效淵)의 후손이 <산음공파>, 백효약(白效若)의 후손이 <임피공파>다. 백회의 자손들이 번성하여 조선 중후기에는 백씨의 대종(大宗)을 이루게 되었다.
백천장의 둘째 아들 전(琠)의 아들 11세 백인석(白仁碩)의 후손이 <봉익대부공파>(奉翊大夫公派)이고, 셋째 아들 환(環)의 후계에서 13세 백운실(白雲實)의 후손이 <보공장군공파>(保功將軍公派), 12세 백수희(白受禧)[주 5]의 후손이 <부사공파>(직산 백씨)이며, 넷째 아들 산(珊)의 후계에서 12세 백수(白粹)의 후손이 <금릉부원군파>(김천 백씨)이고, 다섯째 아들 황(璜)의 후대에서 17세 백응상(白應祥)의 후손이 <함판공파>, 18세인 백흥남(白興男)의 후손이 <절제공파>다. 그리고 백천장(白天藏)의 여섯째 아들 백거(白琚)의 후손이 중랑장(中郞將) <수의부위공파>(부령 백씨)이니, 백천장의 후손 17개 파(派)를 수원 백씨라 한다.
백천장의 동생인 백지장(白地藏)의 후손은 <동림공파>(임천 백씨)다.

5세인 백행미의 후손은 <시랑공파>(태천 백씨), 백가미(白可美)의 후손은 <사부공파>(신풍 백씨), 백채(白採)의 손자인 6세 백영신(白英臣)의 후손이 <부여군파>(부여 백씨)다.
중시조 백창직의 둘째 아들 백탁(卓)의 후손은 단계(單係)로 이어져 백문절(白文節)에 이르고, 그 후손이 <문간공파>(남포 백씨)다.
고려 조에 선산, 대흥, 남포, 직산, 청도 등을 본관으로 번성했던 백씨들이 조선 조 들어 '불사이군'(不事二君)을 들어 출사하지 않고 초야에 묻혀 쇠락한 반면, 조선 창업 무렵 창관한 수원 백씨들은 개국 이래 조정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자손이 번성하여 조선 말에 이르러서는 전체 백씨의 다수를 점하게 되었고, 1850년대부터 수원으로 본관을 통합하려는 논의가 전개되었다.

[수원 백씨의 시조는 당나라 덕종 때 첨의사(僉議事) 이부상서(吏部尙書)을 지낸 송계공 백우경(白宇經)(749 ~ 821)으로, 당나라 신하들의 세력다툼으로 모함을 받게 되자, 당나라 덕종(779~805), 신라 선덕왕(780∼785) 때 신라에 동래하여 경주 금오산 아래 정착하여, 신라 좌복야사공 대사도(출-송계공 망단비), 또는 위지대상(位至大相, 출-영락보)을 관작하였다. 백우경의 후손 백휘(白揮)는 고려 목종(재위, 997∼1009) 때 대사마대장군으로 수원군에 봉해지므로 수원 백씨가 창본되었다. 당나라 황제는 송계공 백우경에게 여러 차례 환국을 권했으나 거절하였다. 백우경의 묘(墓)는 경주 옥산(玉山) 남쪽 기슭에 있다. 후손들은 신라 경명왕 때 중랑장을 지낸 백창직(白昌稷)(? ~ 927?)을 중시조(1세조)로 하고 있다. 인구수는 2000년 기준 316,535명이다.

view all

U-Gyeong Baik's Timeline

548
548
소주, 중국.china
580
580
Korea
620
620
Age 72
Korea 영월당
????
한국 자옥산 남쪽 기슭 庚坐甲向